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폴브랜드
- 톰레이너
- 두란노목회자전문서평그룹
- 2학년2학기
- 시험을만나거든
- 3학년1학기
- 현창학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 합신
- 안희열
- 한성진
- 지혜서
- 필립얀시
- 코로나이후목회
- 초대교회사
- 기독교아직희망이있는가
- 설교연습1
- 러셀무어
- 장로교회사
- 천로역정과하나님나라
- 목회자추천도서
- 십자가를통과한용기
- 드라마레위기
- 두피플2기
- 해돈로빈슨
- 몸이라는선물
- 두란노
- 레위기해설서
- 박대영
- 바울교회에서길을찾다
- Today
- Total
목록항상 배움 (191)
白부장의 타작마당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1TXT/btqSX6UigUX/IZmBna1bn76moKDLInsch0/img.jpg)
암중모색 그야말로 판데믹의 위기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교회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예측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결과로 쏟아진 조언들은 누구도 가보지 않은 상황 속에서 그저 말놀이에 그치지 않는 듯한 인상을 줄 때가 많았다. 한편, 톰 레이너의 코로나 이후 목회는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교회가 핵심적으로 붙잡아야할 내용이 무엇인지 비교적 간결하고 정확하고 제시해준다. 어두운 상황을 부정하거나 그 위기의 원인을 진단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쏟지 않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즉 우리의 미래를 미리 준비하는 것에 집중하는 저자의 지혜가 탁월하다. 암중모색(暗中摸索)이란 사자성어가 이만큼 딱 맞는 내용이 있을까? 암중모색은 "어둠 속에서 손으로 더듬어 찾는다는 뜻으로, 당장은 해결점이 보이지 않..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zGJb/btqR6vUR44q/tA7tmvoxC21DOc7oupXQvk/img.jpg)
이동원 목사님의 『천로역정과 하나님 나라』는 《천로역정》에 대한 세간의 오해를 바로 잡는데서 시작된다. 그 오해는 바로 《천로역정》은 한 개인이 죽은 후 비로소 경험할 수 있는 천국에 대한 소망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2편까지 살펴보면, 《천로역정》이 하나님 나라의 미래성뿐만 아니라 현재성까지 강조한다는데 집중한다. 그로부터 저자 자신의 풍부한 목회 경험을 반추하며 13가지 사역을 《천로역정》을 통해 전망하고 있다. 저자가 바라듯이 하나님 나라를 향해 순례하는 자들, 특히 사역자로 하나님 앞에 부름 받은 사람들에게 귀한 통찰을 주는 저작이라 생각한다. 1. 천로역정과 전도 사역 바울 사도의 마지막 말(디모데후서)이 “그러나 너는 모든 일에 신중하여 고난을 받으며 전도자의 일을 하며 네 직무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1Yjd/btqO72vSpJB/YRM0PkWIO11tAinjSlIim1/img.jpg)
벌써 합신에서의 3년이 끝나간다. 마지막 기말고사라니... 오늘부터 시작해서 한 2주는 나 죽었다 해야하지만, 마지막이라 그런지 몸도 안 따라주고 마음도 복잡하다. 3년동안 무엇을 배웠을까? 정말 열심히는, 성실히는 했는데 말이다. 돌아보면, 학습 성실성은 두 가지 오기 때문이었다. 첫째는, 학부 때 공부에 게을렀던 시간들에 대한 반성이다. 물론 돌아가도 똑같이 할 것 같지만, 글쎄.. 쓸 데 없는 가정 하나 해보면, 1) 서양사 혹은 철학으로 전공 선택 2) SM 이후 중국어 공부(혹은 영어???ㅋㅋㅋ) 3) 군대 빨리 다녀오기 이 정도 꿈을 꿔보고, 둘째는, 선교단체 간사가 신학이 없다는 편견에 대한 저항심이었다. 사실 이게 더 큰 동력이 됐다. 내가 7년동안 사역하면서 읽고 고민하고 풀어냈던 내용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ve9A/btqOCcetpWr/jHt1l6Bpq8z3CWLK9WVmL1/img.jpg)
Part 1. 100년 후에도 희망이 되는 기독교를 위하여 1. 미래의 기독교는 인간적 권위의식에서 나오는 모든 권위주의를 그리스도의 교훈과 뜻이 성취되는 신앙적 질서로 정착시키는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2. 신앙의 공동체인 교회는 필요하지만 교회주의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요청이다. 3. 교권주의 또는 교권의식을 축소하거나 불식시키자는 것이다. 저자는 한국교회가 지금의 정체(혹은 후퇴)를 극복하고 미래의 희망이 되는 기독교가 되기(혹은 회복되기) 위하여 위의 세 가지를 제시한다. 권위주의, 교회주의, 교권주의를 넘어서 만인이 따를 수 있는 진리를 통해 교회 안팎에서 인권과 인격의 가치를 고양하는 그 방향이 바로 기독교가 100년 후에도 쇠퇴하지 않고 희망이 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P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fTl6y/btqM9qrWc9c/4uYPtxMYPKGxLkqW7daNf0/img.png)
모든 말씀을 듣고 행하는 자가 되라(야고보서 1장) 광야와 같은 세상에서 성도가 시험을 이기는 방법이 무엇인가? 야고보는 "말씀을 듣고 순종하는 것(1:19-25)"에 대해 주목한다. 이는 이전 절에 "지혜를 구하는 것"과 연결이 된다. 성경에서 지혜는 하나님께로부터 나오고, 하나님이 지혜를 하나님의 말씀, 토라 속에 두셨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109쪽). 그렇기에 세상의 시험은 정보적 지식이 가득한 사람이 잘 풀어내는 시험지 속 문제가 아니라, 마음에 심어진 하나님의 말씀을 온유함으로 받아 실천할 수 있는 하나님의 시험 장이다. 우리를 구원할 수 있는 능력의 말씀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낳기 위해 사용하신 '진리의 말씀'이시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구원의 과정을 위해 이미 복음을 심어 주셨다. 이 복음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KTXM/btqMkmhUpKi/bwU5gz9BDRRLbo6DpwubYk/img.jpg)
[설교를 듣는 자로서의 부르심] 독서의 즐거움 중 하나는, 이전에 미처 감각조차 하지 못했던 어떤 영역이 내 눈 앞에 펼쳐보여질 때일 것이다. 본서 은 내게 그런 책 중에 하나다. 사역자, 설교자로서의 부르심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했지만, 이전에는 설교를 듣는 자로 하나님께서 우리를 부르셨다는 개념은 전혀 없었다. 교회가 온전하게 세워지려면 설교자가 바른 말씀을 선포하는 것과 회중이 그 설교를 바르게 듣는 일이 필요합니다(7쪽).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세워지는 공동체이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서 하나이며, 또 하나가 돼가는 공동체(엡 4:13)라는 비전에 헌신할 때, 바른 말씀을 선포하는 그 한 축에만 집중됐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교회를 세우실 때 사역자들의 카리스마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hsES/btqKkOVQmjT/2klkNwv6BlBjfWmRjXOnT1/img.jpg)
죽음에 대한 묵상 개인적으로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묵상했던 첫 기억은 여섯 살 때였다. 어린 나이에 무엇을 알았을까마는, 동네 놀이터 그네에 앉아서 “내가 이 세상에서 없어진다면 부모님은 얼마나 힘 드실까?”, “내가 없다고 세상이 변하기는 할까?” 등등의 다소 철학적인 생각을 했었다. 그 때 내게 죽음은 부재로 인한 이별의 고통과 더불어서 꽤나 허무주의적인 고민이었던 듯하다. 이후 죽음에 대해 다시 깊이 고민하게 된 것은, 고등학교 시절 교회에서 구원의 확신에 관한 신앙적 갈증이 생기고 나서부터였다. 시시때때로 구원의 확신을 점검하시던 안수집사님 덕에 꽤 진지하게 죽음 이후의 세계를 생각했었다. 다만 그 때는 죽음이 참 두렵기만 했고, 아직 죽으면 안 된다는 저항감만 강하게 들었다. 왜냐하면 아직 구원..
"우리와 우리의 신실한 조언자들은 주교 관구와 수도원들이 그들의 규례와 거룩한 종교의 관행에 의해 규정된 생활 방식에 더하여, 문헌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일에 헌신해야 한다고 판단하기에 이르렀다. ...... 근자에 일부 수도원에서 우리에게 서한을 종종 보내왔는데 ...... 우리는 이들 서한의 대부분이 정서적으로는 건전하되 그 언어가 거칠고 천박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그러므로 우리는 그들의 문헌 지식의 부족이 성경 이해에서의 좀 더 심각한 지혜의 결여로 이어지지 않을까 두려워하기 시작했다. ...... 그러므로 우리는 여러분에게 축구하노니, 문헌 공부를 소홀히 하는 일이 없도록 할뿐만 아니라, 배움에 노력을 기울여 성경의 신비를 한층 쉽고 정확하게 꿰뚫어볼 수 있기를 바라노라. 성경 본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eZvkz/btqJV6CvGmB/kJHKcYYAMiYE63EdDOHca0/img.jpg)
설교자의 유혹 설교자에게 가장 큰 유혹은 무엇일까? 많은 유혹이 있겠지만 그중에 가장 큰 것은 아마 "독야청청(獨也靑靑)의 만족"이 아닐까 싶다. 하나님 앞에서 말씀을 연구하고 기도하며 청중들의 필요를 하나님의 마음에 잇대어 비춰보는 시간은 결코 녹록지 않고 그 누구도 대신해줄 수 없는 혼자만의 시간이다. 그 과정은 각 설교자마다 다양하게 구현되겠지만 설교 한 편이 쉽게 뚝딱 만들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부족한 설교자가 말씀을 아는 깊이가 얕은 것이 제일 큰 문제이겠지만, 더욱 심란한 문제는 바로 성경을 통해 받은 메시지를 어떻게 전달할까 고민하는 "설교 전달"의 막막함이다. 청중들에게 메시지를 어떻게 표현해내면 과연 두루뭉술하게 퍼져 있는 타락한 인생의 환부를 예리하게 도려낼 수 있을까 싶은, 그 막..
제4장 전도서_하나님의 절대주권을 받아들임 전도서는 어휘나 문법, 구문 등에서 욥기만큼 어렵지 않은 편이고 책의 구성이 특별히 난해하지도 않다. 다만 책 안에 존재하는 진술들 사이의 많은 모순들 때문에 이 책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욥기가 해석자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 합의를 이룬 큰 틀이 존재하는 것과 달리, 전도서는 해석자 수만큼 다른 해석이 존재한다 할 정도로 해석학적 숙제를 안고 있는 책이다. 특히, 전도서는 그 고유의 난해성 때문에 그 시대의 필요와 편견, 시대정신에 지배를 받으면서 전체를 포괄하지 못한 채 해석적 편향을 가지고 소비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전도서를 쉽게 ‘도덕화’하여 단순한 교훈서로 보거나, 세상의 것을 집착하지 말고 하늘의 것을 추구하라는 중세적 ‘세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