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기독교아직희망이있는가
- 두란노목회자전문서평그룹
- 시험을만나거든
- 코로나이후목회
- 설교연습1
- 목회자추천도서
- 박대영
- 두피플2기
- 안희열
- 몸이라는선물
- 현창학
- 바울교회에서길을찾다
- 2학년2학기
- 장로교회사
- 십자가를통과한용기
- 드라마레위기
- 레위기해설서
- 지혜서
- 합신
- 폴브랜드
- 러셀무어
- 톰레이너
- 천로역정과하나님나라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 한성진
- 해돈로빈슨
- 초대교회사
- 3학년1학기
- 두란노
- 필립얀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한성진 (1)
白부장의 타작마당
[소논문] "개혁주의 교부학의 가능성" (요약 및 느낀점)
1. 서론 초창기 번역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학자들 간 용어의 혼동이 있기는 하지만, 보통 교부와 관련된 학문영역을 교부학이라 하고, 이는 교부들의 문헌을 바탕으로 그들의 생애, 저작, 사상, 후세에 미친 영향 등을 다룬다. 한편, 교부학을 둘러싼 카톨릭과 개신교의 이해와 접근법에 미세한 차이가 있는데, 그 비중에 있어서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개신교는 ‘종교개혁’의 영향력이 워낙 막강하여 상대적으로 초대교회의 연구는 보조적인 것을 취급하는 경향이 있고, ‘오직 성경’의 모토로 인해 성경언어를 강조하느라 라틴어에 소홀하며, 성경의 권위 아래에 교부들의 가르침이나 전통을 두기 때문에, 교부학 영역에 많은 투자를 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연구 작업 대부분을 카톨릭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
독서노트/신학관련
2021. 11. 4. 2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