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부장의 타작마당

에스더 3장. 하만의 유대인 멸절 계획 본문

성경연구/한장씩 연구

에스더 3장. 하만의 유대인 멸절 계획

白부장 2013. 4. 10. 09:20

[에스더 3. 하만은 모르드개가 자신에게 절하지 않은 사건으로 인해 바사에 있는 유대 민족을 멸절할 계획을 세운다. 유대인을 향한 죽음의 그림자가 조금씩 드리워지고 있지만, 하나님은 그들이 죽도록 가만 내버려두지 않으신다.]

 

[정리1. 본문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

 

1. 하만과 모르드개의 대립각

 

1) 아하수에로 왕이 아각 사람 하만을 모든 대신 위에 둠

2) 왕의 명에 따라 왕의 모든 신하들이 하만에게 무릎 꿇어 절하지만, 유독 모르드개만 거부함

3) 왕의 신하들이 왕의 명을 따를 것을 모르드개에게 날마다 권하지만, 그는 유다인임을 알리고 거절했고 신하들은 이 사실을 하만에게 전함

4) 하만이 이 사실을 알고 노하여 모르드개로 인하여 유다인 모두를 멸하고자 함

 

2. 하만이 유다인 멸절 계획을 본격적으로 수행함

 

1) 아하수에로 왕 제12년 첫째 달에 무리가 하만 앞에서 제비를 뽑아 열두째 달 아달월을 얻음

2) 하만이 흩어져 거하는 한 민족이 만민의 것과 다른 법을 지키며(유다의 율법) 왕의 법률을 지키지 않는다고 아하수에로 왕에게 지적함

3) 하만이 왕에게 그 민족을 진멸한 대가로 은 일만 달란트를 드리겠다고 회유함

4) 왕이 반지를 빼어 하만에게 주며 그 은도 그에게 줄 테니 마음대로 하라함

 

3. 하만의 계략에 따라 유다 멸절 계획을 담은 조서가 내려짐

 

1) 첫째 달 13일에 하만의 명에 따라 각 지방의 문자와 각 민족의 언어로 조서를 써서 왕의 반지로 인침

2) 조서를 각 지방에 보내는데 열두째 달 아달월 13일에 모든 유대인을 멸절하고 재산을 탈취하라는 내용임

3) 이 조서가 수산 성에도 반포되니 왕과 하만을 제외하고 수산 성은 어지러워짐

 

 

[정리2.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내용을 다시 풀어서 쓰기]

 

아하수에로 왕이 아각 사람 하만을 모든 대신 위에 두어 모두 그에게 무릎 꿇어 절하게 명하지만, 유독 모르드개만은 자신이 유다인임을 들어 그 명을 거부한다. 이에 분노한 하만은 유대 민족을 멸절하기로 작정하고 사람들 앞에서 제비를 뽑아 열두 달에 일을 행할 계획을 세운다. 왕의 권위를 부여 받은 하만은 각 지방과 민족의 말로 조서를 내려 유다인 멸절 계획을 알리고 이에 수산 성은 어지러움에 빠진다.

 

 

[정리3. 정리하면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메시지와 묵상들]

 

1. 하만은 분노로 유대인 멸절 계획을 세우지만, 하나님은 섭리로 유대인 구원 계획을 진행하신다.

 

하만은 모르드개가 자신에게 굴복하지 않은 것에 분노하여 그의 출신인 유다 종족을 멸절할 계획을 세운다. 왕을 회유하여 유대인은 율법을 지키느라 왕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다는 속임수로 왕의 승인을 받은 것이다. 하만은 멸절 계획을 진행하면서 무리들로 하여금 제비를 뽑아 학살의 날을 받게 하는데, 하나님께서는 작은 제비 하나에서도 마지막 달을 뽑도록 하심으로써 유대인들을 구원할 계획을 진행하신다.

 

하나님은 하늘로부터 강하고 급한 불로 내려오셔서 대적들을 다 태우시고 유대인들을 세상으로부터 휴거시켜 구원하는 방법을 택하지 않으신다. 하나님의 방법은 하나님의 대적이 취하는 방법들이 겉으로 보이기에는 순리대로 진행되는 것 같지만, 작은 것 하나하나에 섭리하셔서 결국에는 대적의 패배가 드러나게 하는 방식이다. 퍼즐을 맞추는 그 틀을 완전히 뜯어내는 것이 아니라, 퍼즐은 순리대로 잘 맞추지만 다 맞추고 보니 대적이 원하는 그림이 아니라 하나님이 원하시는 그림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삶을 살면서 보게 되는 대적들의 승리, 원수들의 형통 등을 보고 좌절할 필요가 없다. 그들이 그 순간에는 승리하고 형통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하나님의 섭리에는 결국 하나님이 승리하고 최후에 하나님의 사람이 형통하였다고 증명해내는 힘이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