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부장의 타작마당

에스더 4장. 죽으면 죽으리이다. 본문

성경연구/한장씩 연구

에스더 4장. 죽으면 죽으리이다.

白부장 2013. 4. 12. 08:50

[에스더 4. 하만의 유다인 멸절 계획을 접한 모르드개를 비롯한 유다인들은 크게 애통해한다. 이 일을 알게 된 에스더는 모르드개의 강권에 의해 왕의 규례를 어기고 왕 앞에 나아가 유다인들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강구해보기로 한다.]

 

[정리1. 본문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

 

1. 모르드개와 유다인이 당한 슬픔

 

1) 모르드개가 하만의 조서에 대한 일을 알고 굵은 베 옷을 입고 대성통곡하며 대궐 문 앞까지 이르렀으나 대궐 문에는 들어가지 못함(굵은 베 옷을 입은 자는 들어가지 못함)

2) 왕의 명령과 조서가 각 지방에 이르러 유다인들이 큰 슬픔을 당함

 

2. 에스더와 모르드개의 1차 공방

 

1) 에스더가 모르드개의 소식을 듣고 의복을 보내어 굵은 베 옷을 벗기고자 함

2) 내시 하닥을 통해 모르드개가 당한 일과 하만의 유다인 멸절 계획이 담긴 조서 초본을 에스더에게 보여 알게 함

3) 모르드개가 에스더에게 왕에게 나아가서 유다 민족을 위해 간절히 구하라 요청함

4) 에스더가 부름을 받지 않고 왕에게 나아가면 죽음을 면치 못한다는 규례 때문에 이미 왕에게 나가지 못한 지 30일이 된 자기가 선뜻 나서기 난처하다 전함

 

3. 에스더와 모르드개의 2차 공방, “죽으면 죽으리이다.” 결단하는 에스더

 

1) 모르드개가 에스더에게 회답함, 왕궁에 있으므로 홀로 목숨을 건질 것이다 생각 말라.

2) 에스더가 잠잠히 있어도 유다인은 다른 방법으로라도 구원을 얻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너와 네 아버지 집은 멸망할 것이다.

3) 에스더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어찌 알겠느냐.

4) 에스더가 모르드개에게 회답함, 수산 성에 있는 유다인을 모아 나를 위해 3일을 금식해 달라.

5) 나도 시녀와 더불어 금식한 후 규례를 어기고 죽으면 죽으리라는 마음으로 왕께 나아가겠다.

6) 모르드개가 에스더의 명을 준행함

 

 

[정리2.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내용을 다시 풀어서 쓰기]

 

하만의 계략을 알게 된 모르드개는 극심한 분노와 슬픔으로 굵은 베 옷을 입고 대성통곡하며 대궐 문 앞에까지 이른다. 그리고 이러한 분노와 슬픔은 하만의 조서가 내려진 모든 유다인들에게도 동일하게 일어났다. 많은 유다인들이 굵은 베 옷을 입고 재에 누워 애통해 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에스더는 모르드개가 걱정이 되어서 새로운 의복을 가져다주며 이제 그만 애통하라 하지만, 모르드개는 이를 거절한다. 이에 에스더는 내시 하닥을 통하여 사건의 자초지종을 알려하고, 모르드개는 자기가 당한 모든 일과 하만의 조서를 통해 모든 유다인들이 멸절될 위기에 처했음을 에스더에게 알려준다. 더불어 에스더에게 왕 앞에 나아가서 유다 민족을 구원할 방도를 찾아보라고 촉구한다. 하지만 에스더는 왕 앞에 부름을 받지 않고 나아가는 자는 죽음을 면치 못하는 규례를 들어 이미 자신이 왕에게 30일이나 부름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모르드개의 말을 따르기에는 자신이 죽음을 감수해야 하는 난처한 입장임을 전한다. 이 말을 들은 모드르개는 더욱 강력하게 에스더가 왕 앞에 나갈 것을 촉구한다. 에스더가 왕후의 자리에 있어 유다인 모두가 죽어도 혼자 죽임을 면할 것이라는 안일한 생각은 버리라고 혼내기도 하고, 유다인들은 에스더가 아니어도 다른 방법으로라도 구원을 얻을 것인데 그럴 경우에 아무 역할을 하지 않은 에스더와 그 집안은 멸망할 것이라며 에스더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인지 어찌 알겠냐는 말로 강권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모르드개의 강권을 받은 에스더는 모르드개에게 수산 성에 있는 모든 유다인들에게 삼 일을 금식하여 자신을 위하여 기도해달라고 요청하며, 자신도 시녀들과 더불어 금식한 후에 죽으면 죽으리이다! 라는 결단을 가지고 왕에게 나아가겠다고 이야기한다. 모르드개는 에스더가 명령한 그대로 수산 성에 있는 유다인들을 모아 에스더를 위해 금식하며 기도한다.

 

 

[정리3. 정리하면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메시지와 묵상들]

 

1. 에스더가 내린 사생결단의 배경에는 모르드개의 강권이 있었다. 모르드개의 강권에는 하나님의 역사하심에 대한 분명한 확신이 있었다.

 

에스더는 규례를 어기면서까지 왕 앞에 나아가는 것에 대한 부담을 갖고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규례를 어기고 나가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하는 일이었다. 하지만 모르드개는 죽음을 감수해야하는 에스더의 상황을 이해하고 자신의 뜻을 돌이키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더욱 강하게 권면한다. 왜냐하면 모르드개는 하나님이 어떤 방식으로든지 유다인들을 구원하실 것이라고 신뢰했기 때문이었다. 모르드개의 확신에 찬 강권에 의해 에스더는 죽음을 무릅쓰고라도 왕 앞에 나아가겠다는 결단을 하게 된다.

 

기독 공동체 안의 관계가 좋은 게 좋은 거다!” 식으로 흘러서는 안 되겠다. 모르드개의 강권이 겉으로 보기에는 매몰차 보이고 목적지향적으로 보인다고 할지라도, 그 강권이 있었기 때문에 에스더는 하나님이 자신을 통해 자기 민족을 살리심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하나님께서 어떤 방식으로든 역사하실 것이 분명한 사안에 대하여 믿음의 도전을 주저하는 사람들에게, 공동체 안의 어떤 이들이 믿음을 가지고 강권하여 그 일을 진행하도록 도전하는 자세 역시도 분명히 필요하겠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