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초대교회사
- 바울교회에서길을찾다
- 박대영
- 기독교아직희망이있는가
- 십자가를통과한용기
- 2학년2학기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 러셀무어
- 코로나이후목회
- 톰레이너
- 지혜서
- 설교연습1
- 합신
- 폴브랜드
- 장로교회사
- 드라마레위기
- 시험을만나거든
- 두란노
- 몸이라는선물
- 필립얀시
- 레위기해설서
- 한성진
- 3학년1학기
- 천로역정과하나님나라
- 안희열
- 두피플2기
- 목회자추천도서
- 현창학
- 해돈로빈슨
- 두란노목회자전문서평그룹
- Today
- Total
白부장의 타작마당
룻기 1장. 나오미와 룻, 빈털터리가 되어 유다 땅에 돌아오다. 본문
[성경. 룻기 1장] 풍족함을 쫓아 이방 땅으로 떠난 엘리멜렉 가정이 풍비박산이 되어, 오직 나오미와 룻 둘 만이 고향 땅 유다 땅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실패와 괴로움에 가득 찬 그들의 가정 가운데 아직 끝나지 않은 하나님의 은혜가 준비되어 있었다. 아직 그들은 그 은혜가 어떻게 부어질지 전혀 눈치조차 챌 수 없었지만...
[정리1. 본문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
1. 룻기의 역사적 배경
1) 사사들이 치리하던 어느 때의 흉년기, 흉년을 피해 모압으로 이주
2) 베들레헴(떡집) 에브랏(다산의 땅) 엘리멜렉 가정 (아내:나오미, 아들:말론&기룐, 며느리:오르바&룻/모압女)
3) 10년이 지나는 동안 남자들이 순차적으로 죽어 나오미와 두 며느리가 과부가 되었다.
2. 나오미가 유다 땅으로 돌아오기를 결심하다
1) 흉년을 피해 모압 지방으로 내려갔으나 오히려 가정이 풍비박산(남자들의 죽음) 남
2) 하나님께서 유다 땅에 다시 양식을 주셨다 함을 듣고 일어나 귀국함 (현실 파악이 빠른 나오미)
3) 귀국 도중 나오미가 두 며느리에게 축복하며 집으로 돌아가라 말함
4) 시어머니의 권면에 대해 처음에는 두 며느리 모두 함께 유다 땅으로 가겠다 함
5) 나오미가 자신에게는 유산을 남겨줄 어떤 소망이 없음을 들어 두 며느리를 강권함
6) 오르바는 돌아가고 룻은 나오미를 붙좇음
3. 나오미가 룻과 함께 귀국하다
1) 시어머니를 좇아 충성하기로 결심한 이방 여인 룻, 그 굳은 결심을 나오미도 수용함
2) 보리 추수 시작할 때 베들레헴에 이름
3) 온 성읍이 나오미와 룻으로 말미암아 수군수군함
4) 나오미는 자신을 나오미(하나님의 기쁨)가 아니라 마라(괴로움)라 부르라 함, 풍족함을 좇아 이방 땅으로 나갔다가 하나님의 징벌을 받아 비어 돌아옴 (겉으로 보이기에는 아무 것도 없지만, 오히려 실패의 땅 모압에서 함께 온 모압 여인이 나중에는 축복의 통로가 됨)
[정리2.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내용을 다시 풀어서 쓰기]
사사가 다스리던 시대에 풍족한 땅 베들레헴에 살던 엘리멜렉 가정에 흉년이라는 환난이 다가왔다. 이들은 더 풍족함을 쫓아 고향을 버리고 모압 땅으로 향하는데 거기서 하나님의 징벌을 받아 가정이 도리어 풍비박산이 나게 된다. 재산도 잃고, 가장인 남편부터 두 아들까지 가정의 모든 남자가 죽게 되는 것이다.
유다 땅에 하나님이 다시 양식을 주신다는 소문을 접한 나오미는 이방 땅에서 일어나 고향인 유다 땅으로 귀국하려 하고, 이에 두 며느리를 집으로 돌려보내려 하였다. 두 며느리는 시어머니를 좇아 들어간다 하였지만, 남겨줄 유산이 없고 소망이 없다는 나오미의 강권으로 오르바는 이별을 결심한다. 그러나 룻은 끝까지 시어머니 나오미를 따라 충성하며 살기로 굳게 결심하고 도리어 나오미를 설득한다. 결국 나오미와 룻은 함께 유다 땅으로 돌아오게 된다.
나오미는 귀국하여 만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인생을 한탄한다. 풍족함을 좇아 이방 땅으로 갔던 계획들이 도리어 저주가 되어 자신의 가정이 풍비박산되었던 일을 회고하며 자신이 ‘나오미’(기쁨)가 아니라 ‘마라’(괴로움)라 말한다. 그러나 나오미는 저주 받고 빈손으로 돌아온 자신의 옆에 모압 여인 룻-이방 여인이면서 과부인 최악의 조건-이 있다는 사실이 도리어 축복의 통로임을 그 때까지는 알지 못했다.
[정리3. 정리하면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메시지와 묵상들]
1. 눈에 보이는 성공을 좇아 하나님의 품에서 떠나면 결국에는 실패할 수밖에 없다.
풍족한 땅에서 만난 흉년을 피하고자 하나님의 땅을 버리고 모압 땅으로 이주한 엘레멜렉의 가정은 그야말로 풍비박산이 났다. 잠깐 흉년을 피해 모압에 갔다가 돌아오자라는 마음으로 떠났을지 몰라도 사람의 본성상 또 한 번 이주하여 정착하기 시작하면 그 땅을 버리고 다시 돌아오기란 여간 쉽지 않기 마련이다.
우리는 종종 그들처럼 현실의 눈을 들면 보이는 성공을 좇아 살다가 정작 중요한 하나님을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잠시만 하나님의 방법이 아니라 세상의 방법으로 살다가 회개하고 다시 하나님께 돌아오면 되지! 라고 생각하는 것은 이미 우리가 하나님의 품안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는 증거이다.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눈앞의 현실을 이유로 하나님의 품을 떠나는 어리석은 일을 범하면 안되겠다.
2. 우리가 하나님을 떠나 실패를 경험할 때에도 하나님은 우리에게 부어주실 은혜를 예비하신다.
하나님의 은혜는 실패한 인생 가운데 찾아온다. 고향으로 어쩔 수 없이 돌아온 나오미의 인생은 그야말로 마라의 인생이었다. 빈털터리 인생이었다. 남편도, 아들들도, 며느리도 한 명 잃었다. 그녀에게 남아있는 것이라고는 달랑 이방 땅 모압의 여인, 며느리 룻 밖에 없었다. 룻만이 자신의 옆에 남아있다는 사실은, 그래서 그녀 한 명이라도 자신의 옆에 남아있음을 오히려 감사해야하는 현실은, 나오미의 인생이 철저히 실패했다는 증거와도 같았다. 그러나 실패의 흔적과도 같은 그 룻이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곧 축복의 통로가 되고 그로 말미암아 커다란 은혜를 누리게 되는 것을 보게 된다.
우리의 실패는 확정적인 실패로 끝나지 않는다. 우리의 인생을 붙잡고 계시는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끝끝내 해피엔딩을 맞게 될 것이다. 우리가 실패라고 생각했고 막다른 골목에 마주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그 시점이 오히려 하나님의 은혜가 시작되는 출발점이다.
'성경연구 > 한장씩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나 2장. 요나의 불완전한 기도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답하시는 하나님 (0) | 2013.03.27 |
---|---|
요나 1장. 하나님의 말씀을 거부하는 요나와 그를 집요하게 추적하시는 하나님 (2) | 2013.03.27 |
룻기 4장. 보아스와 룻의 결혼 이야기가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로 확장되다. (4) | 2013.03.19 |
룻기 3장. 룻의 요구와 보아스의 응답, 기업 무를 자가 되어 달라! (1) | 2013.03.13 |
룻기 2장. 룻과 보아스의 만남, 숨겨졌던 은혜의 시대가 은밀히 시작된다. (0) | 201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