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두란노목회자전문서평그룹
- 바울교회에서길을찾다
- 드라마레위기
- 해돈로빈슨
- 현창학
- 장로교회사
- 십자가를통과한용기
- 천로역정과하나님나라
- 코로나이후목회
- 박대영
- 러셀무어
- 한성진
- 시험을만나거든
- 두란노
- 폴브랜드
- 목회자추천도서
- 톰레이너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 3학년1학기
- 필립얀시
- 레위기해설서
- 설교연습1
- 안희열
- 지혜서
- 두피플2기
- 기독교아직희망이있는가
- 합신
- 몸이라는선물
- 초대교회사
- 2학년2학기
- Today
- Total
白부장의 타작마당
[피터엔즈, 성경영감설] 2장 구약성경과 고대근동 문학 - 1. 아카드어 문학의 영향 본문
2장 구약성경과 고대근동 문학
1. 아카드어 문학의 영향
1) 중요한 발견
• 19C에 고대 니느웨의 앗수르바니팔 왕의 도서관에서 아카드어로 기록된 수천 점토판들이 발굴됨
(cf) 아카드어는 BC 3,000~ 기원전 고대근동 세계의 주요언어 ex) 앗수르, 바벨론)
• 구약성경과 유사한 이야기를 담은 종교문서들이 발견 = 구약성경에 대한 고대근동의 병행문학
• 전통적인 성경관을 가진 기독교인들에게 충격, 충분히 논의되지 못함
☞ 자유주의자 : 성경은 고대근동의 종교문헌 중에 하나일 뿐이다.
vs. 보수주의자 : 성경과 고대근동 문화와의 상관관계를 과소평가
2) 천지창조 : 에누마 엘리쉬 (‘높은 곳에서’라는 뜻)
• BC 7C경의 일곱 개 토판 발견 (실제 기록 연대는 BC 2,000~1,000년경), 바벨론의 창세기
• 이야기 생성 연대는 마르둑이 바벨론 신으로 등극한 BC 17C로 추정
(고대의 이야기는 구전전승 기간을 반드시 거친 후에 문서화됨)
• 수메르어로 쓰였거나, 아카드어로 쓰인 다른 이야기 등 많지만 에누마 엘리쉬가 창세기와 가장 비슷
• 창세기와의 유사성
- 창조의 순서, 창조 전 상태, 물의 분할과 구획을 나눔, 빛이 광명체보다 선재함 (p.34)
- 비슷한 세계관 속에서 작업 (우주의 기원을 인간 존재를 초월하는 영역에서 찾는 것)
• 창세기와의 차이점
- 마르둑은 티아맛과의 전쟁에서 이기며 최고신으로 등극 (티아맛의 시체에서 천지창조)
- 보수주의자들은 창세기가 고대근동의 이야기를 반박하기 위해 쓰여졌다고 해석
☞ 창세기가 당시 고대근동의 세계관 안에서 쓰여졌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3) 홍수 : 아트라하시스, 길가메쉬 (p.38~39)
• BC 17C 아트라하시스가 에아의 도움으로 방주를 지음, 엔릴 신은 인간이 시끄러워 홍수를 내림
• BC 2,000~1,500경의 이야기 (BC 7C경 기록된 12개 토판이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것)
- 길가메쉬가 엔키두의 죽음으로 영생이 비밀 좇던 중 우트나피슈팀을 만나 홍수 이야기를 들음
•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에 영향을 주거나, 오래된 제 3원작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아카드어, 수메르어본 등이 많음을 볼 때 제 3원작설이 조금 더 가능성 높음
☞ 성경기록의 역사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발생한다.
4) 이스라엘의 족장들 : 누지 문서 (p. 41)
• 누지 : BC 1500~1300년경, 이라크 북부의 도시, 법률 행정, 경제 문서
• 족장시대 생활상을 엿볼 수 있음, 초기에는 아브라함의 역사성을 입증하는 노력으로 치우침
• 창세기의 기록들이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사회, 문화적 맥락을 그대로 반영
☞ 창세기의 특별함이 소실된다면, 어떤 점에서 성경이 계시라 할 수 있을까?
5) 율법 : 함무라비 법전
• 함무라비 법전 : BC 18C 바벨론의 왕, 300개 조항으로 이뤄진 법조문
• 율법과의 유사성 (p.42, 43)
- 어떤 것은 단어선택에 있어서까지 유사성 보임
- 눈에는 눈, 이에는 이에 입각, 보상 상대방의 사회적 가치가 중요
• 함무라비 법전이 시내산 율법보다 시대순으로 앞선다.
☞ 직접 계시인 모세율법이 그다지 특별한 법이 아니다?
'독서노트 > 신학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터엔즈, 성경영감설] 2장 - 5. 우리는 어떤 다른 방식으로 이런 문제들에 접근할 수 있는가? (0) | 2013.06.18 |
---|---|
[피터엔즈, 성경영감설] 2장 - 4. 과거에는 이런 문제들이 어떻게 다루어졌는가? (0) | 2013.06.18 |
[피터엔즈, 성경영감설] 2장 - 3. 무엇이 문제인가? (0) | 2013.06.18 |
[피터엔즈, 성경영감설] 2장 - 2. 다른 고대근동 문헌들 (0) | 2013.06.18 |
[피터엔즈, 성육신의 관점에서 본 성경영감설] 1장 방향 잡기 (0) | 2013.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