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코로나이후목회
- 십자가를통과한용기
- 안희열
- 한성진
- 기독교아직희망이있는가
- 두란노
- 초대교회사
- 현창학
- 폴브랜드
- 두란노목회자전문서평그룹
- 3학년1학기
- 몸이라는선물
- 천로역정과하나님나라
- 레위기해설서
- 지혜서
- 톰레이너
- 장로교회사
- 합신
- 해돈로빈슨
- 바울교회에서길을찾다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 드라마레위기
- 설교연습1
- 박대영
- 2학년2학기
- 필립얀시
- 두피플2기
- 시험을만나거든
- 목회자추천도서
- 러셀무어
- Today
- Total
白부장의 타작마당
크리스터 스텐달의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에 있는 바울]에서 발췌 본문
6. 보편성이라기보다는 독특함
성경을 읽는 개개인은 어떻게 다양성이 주는 풍성함과 함께하는 삶을 살 수 있을까? (162-64쪽)
1. 우리의 방어 본능을 극복해야 한다.
우리가 하나님이나 성경을 방어할 필요는 없다. 성경을 하나로 묶어주는 것처럼 보이는 주제, 교훈, 개념들을 찾고 즐거워할 수 있겠지만, 그런 작업이 실제로 성경을 하나로 묶는 통일성을 부여한다고 생각하지는 말아야 한다.
2. 우리는 그리스도인이 다양한 방식과 다양한 신학적 용어로 말하고, 생각하고, 기도하고, 설교할 수 있다는 사실을 충분히 깨달아야 한다.
이런 다양한 신학적 용어들이 위대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위험 요소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3. "성경적" 신학이나 심지어 "신약성경적" 신학이 보편성을 띤 단 한가지의 신학적 용어로만 존재하는 게 아니라는 사실 말이다.
복음의 메시지가 지닌 간결함, 고결함, 그리고 힘은 성경에 담긴 각기 다른 신학들의 고유성을 통해서만 우리에게 전달될 수 있다.
4. 우리는 바울이 다루는 이슈들이 우리의 상황과 우리의 문제에 적용될 수 있는지 진지하게 물어야 한다.
바울은 각기 다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교회들에게 각각 다르게 말한 것 같다. 그가 고린도인, 갈라디아인, 그리고 데살로니가인에게 대답했던 식으로 우리에게도 말할 것이라고 생각해선 안 된다.
-------
그동안 많이 생각했던 내용과 주제들,
그동안 많이 부딪혔던 부담과 압박들,
그동안 많이 고민했던 표현과 논리들,
참 좋은 책.
모든 주장에 다 동의되지는 않아도 그래도 무엇인가 간만에 깊은 본질을 건들여주는 것 같아 감사하다.
성경은 내가 그 위에 서서 보호하고 정리해주고 조직해줘야할 책이 아니다. 물론 저자의 의도는 특정 교리를 포함한 신학적 재단을 거세하고 성경을 역사적 문서자체로 봐야한다는 취지겠지만, 어찌 됐든 성경신학적 근원에 대한 깊은 통찰을 맛볼 수 있어 짜릿하다.
'독서노트 > 신학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논문] "개혁주의 교부학의 가능성" (요약 및 느낀점) (0) | 2021.11.04 |
---|---|
[피터엔즈, 성경영감설] 2장 - 6. 고대근동학적 발견이 우리의복음주의적 성경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0) | 2013.06.18 |
[피터엔즈, 성경영감설] 2장 - 5. 우리는 어떤 다른 방식으로 이런 문제들에 접근할 수 있는가? (0) | 2013.06.18 |
[피터엔즈, 성경영감설] 2장 - 4. 과거에는 이런 문제들이 어떻게 다루어졌는가? (0) | 2013.06.18 |
[피터엔즈, 성경영감설] 2장 - 3. 무엇이 문제인가? (0) | 2013.06.18 |